-
혹시 당신도 수동 공격형(passive aggressive)?
수동 공격성(passive aggressive)이란 소극적이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불만이나 분노를 전달하거나 공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며칠간 잔업이 이어지다 오늘은 제 시간에 퇴근해야지 하는 마음에서 일을 마무리 지으려... -
사람들을 잘 믿는 편입니까?: 대인 신뢰감 테스트
프란시스 후쿠야마는 그의 저서 '트러스트'에서 세계에는 고신뢰사회와 저신뢰사회가 있다고 하며 미국, 일본, 독일이 전자에, 중국, 러시아,이탈리아, 한국이 후자에 들어맞는다고 한다. 고신뢰사회에서는 국가와 가족 사이에는 대기업, 활동적인 커뮤니티, ... -
나도 왕따의 가해자?: 관계적 공격성 테스트
관계성 공격(relational aggression)이란 타자의 인간관계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상대에 상처를 입히려는 행동을 말한다. 누군가를 집단이나 집단활동으로부터 따돌리는 것을 의도하는 사회적 배제 , 친구들에게 특정한 인물과 사이좋게 지내지 않도록 요구... -
왜 나만 걸릴까?: 자기표적의식 테스트
좋지 않은 짓을 하기만 하면 꼭 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늘 하는 사람들은 멀쩡한데 어쩌다 한번 하는 자신은 반드시 걸린다는 것이다. 학생이라면 수업 시간에 모처럼 만화를 읽으면 선생님한테 반드시 걸린다거나 직장인이라면 정말로 오... -
감추고 싶은 것이 있는 사람들: 자기은닉 경향 테스트
사람 가운데는 창피한 체험, 자신이 동요했던 체험, 부정적인 감정 경험 등에 관해 아무에게도 이야기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친밀한 관계에서 이러한 것들을 밝히면 거부당하고 배척 당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처럼 자기와 관련된 부정적인 정... -
나는 카멜레온형 인간일까: 자기모니터링 테스트
다른 사람이나 상황이 요구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람이 인간관계에서는 상당히 유리하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자면 상황에 따라 자기를 맞출 수 있는 카멜레온형 인간이 사회적 적응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 나온 것은 현대사회가 ... -
나는 주위 사람들을 너무 의지하고 있지는 않을까: 대인의존 욕구 테스트
혼자서는 아무 것도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어렵고 힘든 일을 혼자 못하는 것이야 어쩔 수 없는 일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길을 물어보는 것 같이 쉽고 사소한 일 조차도 스스로 못하고 꼭 곁에 있는 사람을 시키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대인의존욕... -
나는 화를 잘 내는 편일까: 분노 심리테스트
얼마전 수원에서 30대 여성이 눈이 마주쳤다는 이유로 70대 노인을 폭행한 사건에서 보듯이 분노의 폭발은 개인적인 문제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비화될 때가 많다. 이런 까닭에 분노와 공격이란 주제는 사회심리학에서 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
왜 남의 시선을 의식할까: 자기의식의 이유 테스트
공적 자기 의식이 높은 사람은 집단으로부터 고립되지 않도록 주위에 맞추어 행동하는 특징을 보여주지만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들보다 두드러져 보이고 싶다는 이른바 '자기 현시성'과도 관련이 깊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렇게 상반되는 경향을 보이는 이유... -
나는 완벽주의자?: 완벽주의 테스트
완벽주의란 무엇을 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흠 잡히는 것이 없도록 철저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 완벽주의가 사람 잡는다. 일이란 것이 항상 시간이 넉넉하고 자기 능력에 걸맞기만 한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 힘에 버거운 일도 해야 하고 ... -
나는 정말로 남의 슬픔에 공감할 수 있을까: 공감성 테스트
희비노공과 같이 겉으로 드러난 급격하고 일시적인 감정을 정동이라고 하고 다른 사람의 심정에 공감하는 정도를 공감성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동적 감수성이란 다른 사람의 정동을 알아차리고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이 체험... -
나의 소통스타일은?: 소통스타일 테스트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커뮤니케이션에서 상당히 중요한 스킬이다. 이러한 스킬이 부족하면 자신의 뜻을 제대로 전달하기 힘들어 불필요한 오해를 빚어내기 쉽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자기표출성으로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스... -
스스로 자기 목을 조르는 사람들: 셀프핸디캐핑 테스트
중요한 발표를 앞두고 폭음을 한다든지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극장을 간다든지 하는 식으로 스스로를 불리하게 하는 행동, 즉 스스로의 목을 죄는 자멸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사회심리학에서는 셀프 핸디캐핑이라고 부릅니다. 스스로에게 핸디캡을 준다는 의... -
나는 남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나: 자기의식 테스트
너무 의식해도 탈, 너무 의식하지 않아도 탈인 것이 주위 사람들의 시선이다. 사회심리학에서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는 정도를 자기의식이란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자기의식이란 자신에게 주의를 쏟고 자신을 의식하기 쉬운 성격 특성을 말한다.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