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읽는 우리 사회
부끄러움을 잃은 시대
umentia
2025. 7. 18. 07:33
요즘 사람들은 잘못을 해도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고도 뻔뻔하게 웃고,
거짓이 드러나도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냐”는 말이 먼저 나옵니다.
사과는 힘을 잃었고,
반성은 전략이 되었으며,
부끄러움은 감춰야 할 약점처럼 여겨집니다.
하지만 원래 수치심은
타인과의 관계를 지키기 위한 본능적인 감정입니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폐를 끼쳤을 때,
혹은 어떤 기대를 저버렸을 때 느끼는
그 불편함과 울컥함이 바로 수치심입니다.
수치심은 ‘나’보다 ‘우리’를 의식하게 만들고,
‘체면’이라는 이름으로 공동체의 경계를 세워 왔습니다.
그 감정이 있었기에 우리는
함부로 말하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지 않으며,
서로의 얼굴을 살피며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그 감정을 약하다고 여기고, 불필요하다고 취급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창피해하지 않는 것이 용기”처럼 포장되기도 합니다.
수치심이 사라진 자리에 남은 것은
무례함, 무감각함, 그리고 무책임입니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을 보면,
잘못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 잘못 앞에서 아무것도 느끼지 않는 모습이 더 낯설고 무섭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수치심’이라는 감정이 어떻게 작동하며,
왜 지금 다시 그것을 회복해야 하는지를 더 깊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저는,
잃어버린 감정들에 대해,
그리고 그 감정이 사라진 사회가 어떤 모습인지를
차근차근 써 내려가 보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