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upport.jpg


우리 사회에도 이른바 결혼 적령기를 넘긴 남녀들로 넘쳐난다. 30대 미혼은 노총각, 노처녀 축에도 끼지 못할 정도이다. 이러다보니 노총각, 노처녀라는 말은 이미 사어가 되어버렸다는 느낌마저 든다.

 

혼기를 지나 결혼을 하지 않는 남녀가 딱 부러진 이유가 있어서 독신으로 지내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독신주의를 철저히 신봉해서 독신을 고집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런 사람은 우리 사회에서 아직  소수이다.


어쩌다 보니”, “일에 치여서”, “만남 자체가 없어서”, “내게 맞는 사람이 없어서라는 소극적인 이유로 결혼을 하지 않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결혼할 의욕도 마음도 있는데, 어찌어찌하다보니 결혼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태반인 것이 현실이다.

 

몇살이면 결혼을 포기하게 되나?


하지만 결혼할 의향이나 의사가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선을 넘으면 결혼할 의욕이 뚝 떨어진다. 어찌 보면 포기 상태로 접어들어 모든 것을 하늘의 뜻에 맡겨야 할 때가 온다는 이야기이다. 그 때가 언제일까?

 

이 의문에 똑 부러진 대답을 얻을 수 있는 조사가 별로 없긴 하지만 찾아보면 없는 것도 아니다. 일본의 메이지야스다(明治安田)생활복지연구소가 2007년 실시했던 “30~50세대 미혼자의 생활설계에 관한 의식조사가 좋은 참고가 된다. 조사가 실시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조사결과는 여전히 유효하고 우리 사회에 시사해주는 바도 상당히 크다. 


이 조사에 따르면 결혼의욕의 고비는 남성의 경우 50, 여성의 경우 40대였다. 이 고비를 넘기면 결혼의욕이 뚝 떨어져 모든 것을 하늘에 맡긴 채 사실상 포기상태가 되었다.


반드시 결혼하고 싶다”, “좋은 사람이 있으면 결혼하고 싶다”, “언젠가는 결혼하고 싶다라고 대답한 결혼긍정파의 비율을 보면 남성의 경우 40대 후반까지는 7할 전후를 유지하고 있지만, 50대로 접어들면 큰폭으로 낮아져 4할 이하를 기록하고 있었다. 조사를 실시한 메이지야스다 생활복지연구소는 30~40대가 결혼을 의식하는 연대이고 이것이 50대에 커다란 고비를 맞는다고 보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결혼긍정파는 30대에는 7할을 약간 넘지만, 40대 전반에는 5, 40대 후반에는 3할로 급감했다. 여성의 경우 결혼의향의 고비는 남성의 경우보다 10살 정도 낮은 40대에 찾아오는 듯 했다.


support.jpg
결혼에 대한 생각(남성의 경우)


결혼에 대한 응답을 남녀별로 자세히 살펴보자. 우선 남성의 경우를 보면 “반드시 결혼하고 싶다”라는 응답(그래프의 맨 왼쪽)은 40대 후반에서 급격하게 감소한다. 30대 전반에 23.6%였던 것이 40대 후반에는 4.5%로 5분의 1로 떨어지는 것이다. 40대 후반 이후에는 3~4%가 유지되고 있어 결혼을 심리적으로 포기하는 나이는 50대가 아니라 40대 후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조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40대 전반의 경우도 11.4%로 30대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이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해준다.


나이에 따라 늘어나는 것은 좋은 사람이 있으면 하고 싶다는 응답이다. 40대 전반까지는 30%대였던 응답률이 40대 후반으로 가면 52.3%로 대폭 증가한다. 아직은 스스로의 힘으로 기능하다고 믿고 있었다.그러다 50대 전반으로 가면 27.3%로 절반으로 뚝 떨어진다. 40대 후반까지는 결혼에 대한 미련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이 이러한 응답패턴에 여실히 나타나 있다.

 

나이에 따라 늘어나는 것은 결혼은 하늘의 뜻이라는 응답과 결혼을 반드시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결혼 포기성 응답이다. 두 문항에 대한 응답률은 50대 전반에선 54.6%, 50대 후반에서는 68.9%로 이 연령층에서는 결혼이란 인력으로는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upport.jpg

결혼에 대한 생각(여성의 경우)


여성의 경우 “반드시 결혼하고 싶다”라는 응답은 40대 전반으로 들어가면 급격하게 떨어진다. 30대 전반 21.9%, 30대 후반 16.4%였던 응답율은 40대 전반으로 가면 4.5%, 40대 후반에서는 6.3%로 급격하게 떨어진다. 50대 여성의 경우 “반드시 결혼하고 싶다”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한명도 없어 이 연령층의 여성들은 자기 힘에 의한 결혼은 완전히 포기하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그 대신 “좋은 사람이 있으면”, “하늘의 뜻”이라는 응답은 많아 결혼과 완전히 연을 끊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30대 후반이 “꼭 결혼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응답률이 가장 적다는 것이다. 이것은  결혼을 하느냐 마느냐의 고비가 30대 후반이라는 것과  여성들이 독신으로 사는 이유가 결혼하고 싶지가 않아서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 준다. 


여성의 경우 50대가 되면 결혼에 대해 포기를 하고 일생독신을 각오하고 있으나 남성의 경우 50대의 경우도 결혼에 대해 완전히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었다. 그 뿐 아니라 여성의 경우 40대 이후면 일생 혼자 살 각오를 하는 기색이 분명했으나 남자에게는 그러한 결심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생활계획에까지 이어져 여성의 경우는 착실한 저축을 통하여 노후에 대해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었지만 남성의 경우는 그렇지 못했다. 메이지야스다 생활복지연구소의 “여성은 빠른 시기로부터 일생독신의 각오를 정하고 생활설계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남성은 결혼에 대한 미련에 질질 끌려다니고 있다”라는 분석에 수긍이 가는 조사결과이다.










?

  1. 미혼남녀, 몇살 때 결혼을 포기할까?(일본의 경우)

    우리 사회에도 이른바 결혼 적령기를 넘긴 남녀들로 넘쳐난다. 30대 미혼은 노총각, 노처녀 축에도 끼지 못할 정도이다. 이러다보니 노총각, 노처녀라는 말은 이미 사어가 되어버렸다는 느낌마저 든다. 혼기를 지나 결혼을 하지 않는 남녀가 딱 부러진 이유가...
    Date2017.01.25 Category결혼 Byrokea
    Read More
  2. 거짓말을 간파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있을까?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조윤선 장관이 구속된 것을 보니 그들이 청문회에서 모른다고 주장했던 것은 역시 거짓말이었던 모양이다. 물론 두 사람은 증거인멸의 우려 때문에 구속된 것이긴 하지만 블랙리스트와 전혀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청문회에서 두 사...
    Date2017.01.22 Category실험 Byrokea
    Read More
  3. 일본의 4,50대 모태솔로는 얼마나 될까.

    잘 알다시피 모태솔로란 태어나서 지금까지 한 번도 연애를 해본 적이 없는 사람을 말한다. 요즈음은 스스로를 모태솔로라 칭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고 또 결혼들도 늦게 하다 보니 2,30대 모태솔로는 어디 가서 명함도 못 내민다. 모태솔로가 많은 인터넷 커...
    Date2016.10.08 Category결혼 Byrokea
    Read More
  4. No Image

    직관은 육감이 아니라 스킬이다

    비밀글입니다.
    Date2016.10.06 Category직관 Byrokea
    Read More
  5. 이순신에 도와달라 기도한 일본 해군 장교

    도고 헤이하치로(東鄕平八郞)는 메이지 시대의 해군 제독이다. 러일전쟁 때 쓰시마해전에서 발틱함대를 격파해 승전의 결정적인 발판을 마련했던 인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러일전쟁의 영웅이라는 것보다는 이순신 장군을 존경하고 극찬했던 인물로 오...
    Date2016.09.24 Category일본 Byrokea
    Read More
  6. 사무라이 상법

    사무라이처럼 자존심 덩어리인 사람들보고 돈을 벌라고 하면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질까? 누구나 알듯이 돈을 벌려면 자존심을 굽혀야 한다. 뻣뻣하게 굴어서는 절대 돈을 벌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자존심 덩어리인 사무라이들이 과연 다른 사람들에게 굽혀...
    Date2016.09.23 Category일본 Byrokea
    Read More
  7. 사무라이, 멋있게 죽는 것만 생각했던 사람들

    명예란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지만 그것은 본질적으로 자기 지향적이다. 명예란 것은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우선 내가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자기의 도덕적, 인격적...
    Date2016.09.23 Category일본 Byrokea
    Read More
  8. 무력감도 학습된다: 학습성 무력감

    모든 자살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자살의 배후에는 우울증이 자리 잡고 있다. 또 우울증의 상당 부분은 학습성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에서 비롯된다. 학습성 무력감이란 무력감이 학습을 통하여 굳어져 버리는 것을 말한다. 우선 학습성 무력...
    Date2016.09.22 Category실험 Byrokea
    Read More
  9. 관리직 원숭이(Executive Monkey)

    2차대전 중 전투에 참여했던 미군들 가운데에는 위궤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전쟁의 공포라는 강한 스트레스와 위궤양의 관계에 관한 다양한 조사와 실험이 실시되어, 강한 스트레스는 위궤양을 유발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러...
    Date2016.09.22 Category실험 Byrokea
    Read More
  10. 유쾌하면 창의성도 높아진다

    유쾌한 기분은 우리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이 아니라 창의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해결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사회심리학의 연구를 통하여 누차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가운데에서는 사회심리학자 Isen의 연구가 가장 돋보인다. ...
    Date2016.09.21 Category직관 Byrokea
    Read More
  11. 통찰은 왜 갑자기 찾아올까

    해결의 실마리조차 보이지 않던 문제라도 한동안 씨름하다 보면 어느 때인가 갑자기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떠오를 때가 있다. “아하! 이거구나.”하고 그 해법이 불현듯 떠오른다. 이것이 통찰이다. 통찰이란 한마디로 말해 어느 순간에 문제의 본질을...
    Date2016.09.20 Category직관 Byrokea
    Read More
  12. 직관과 변성의식

    우리의 일상 의식이라는 것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그 밑 부분에는 과학적 해명을 거부해온 미지의 과정이 존재한다. 그것이 바로 변성의식(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이다. 신경생물학은 일상 의식이라는 것이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외부 자...
    Date2016.09.19 Category직관 Byrokea
    Read More
  13. 직관과 가슴을 따르라

    경영자들만 직관을 중요시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 합리적이라는 과학자들조차도 직관을 중요시하고 있다. 스웨덴의 교육심리학자 마튼(Marton, F.)과 그의 동료들은 1970년부터 16년간 물리학, 화학, 의학 부문에서 노벨상을 수상했던 사람들과 인터뷰를 했다...
    Date2016.09.18 Category직관 Byrokea
    Read More
  14. 직관이란 무엇인가

    2001년 4월 어느날 미네소타주에 거주하는 재키 라센(Jackie Larsen)이라는 여성은 예배를 마치고 자기 가게로 돌아가고 있었다. 길을 가다가 그녀는 크리스토퍼 보노(Christopher Bono)라는 청년과 우연히 마주치게 된다. 짧은 머리에 예절바르게 보이는 그 ...
    Date2016.09.17 Category직관 Byrokea
    Read More
  15. 실제로 실현된 도시전설들

    도시전설의 묘미란 있을 법한 이야기를 진짜로 일어났다고 전하는 데에 있다.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와는 달리 유령에 관련된 괴담류의 도시전설 보다는 범죄나 사건에 관련된 것들이 많다. 그래서 그런지 이것은 사실에 바탕을 둔 것일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
    Date2016.09.16 Category도시전설 Byrokea
    Read More
  16. 도시전설은 교훈적인 경고이다

    대개의 도시전설은 교훈적이다. 흔히들 생각하는 귀신 이야기와는 거리가 있다. 어처구니없는 사건과 사고를 통하여 우리에게 조심하면서 살아가야한다고 경고한다. 프랑스의 심리학자 캐퍼러(Kapferer, J. N.)가 이야기했듯이 도시전설은 일종의 예시적 이야...
    Date2016.09.14 Category도시전설 Byrokea
    Read More
  17. 대부분의 도시전설에는 원형이 있다

    아무리 새롭게 보이는 도시전설이라도 연원을 쫒아가다 보면 원형이 되는 이야기와 마주칠 때가 많다. 세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주요 모티브가 비슷한 원형이 있을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이다. 원형이 있다는 것은 누군가가 원형이 되는 이야기...
    Date2016.09.13 Category도시전설 Byrokea
    Read More
  18. 오를레앙의 사라지는 부티크 

    소문연구에서는 소문을 3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회적인 정보로서의 소문인 루머, 뒷담화로서의 소문인 가십, 이야기거리로서의 소문인 도시전설(urban legend)이 바로 그것이다. 도시전설이란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드가르 모랑(Edgar Morin)이 1...
    Date2016.09.12 Category도시전설 Byrokea
    Read More
  19. 천재와 백치의 동거: 서번트신드롬

    1983년에 방영되었던 미국 CBS의 60분(60 minutes) 프로그램. 화면에 비친 중년의 남자는 자폐증으로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요일을 맞추는 데에는 특별한 재주가 있었다. 사회자가 “1911년 8월 13일은 무슨 요일입니까?”라고 물어보자 바로 “일...
    Date2016.09.10 Category Byrokea
    Read More
  20. 분할뇌, 두개의 마음

    인간을 포함한 모든 포유동물의 뇌는 좌우로 나뉘어 각각 기능을 분담하고 있다. 오른쪽의 시각, 촉각, 동작은 좌뇌가 분담하고, 우뇌는 왼쪽의 그것들을 분담하는 식이다. 또한 각각의 뇌반구는 반대쪽의 몸통에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반구는 ...
    Date2016.09.09 Category Byrokea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