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해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upport.jpg


학창 시절 시험기간 동안에 영화를 보러 간 적이 있었던 사람들은 꽤 많을 것이다. 중간고사나 기말시험 기간에는 다른 때보다 학교가 일찍 끝나니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해놓았다면 머리를 식힐 겸 영화를 보러 갈 수도 있다.

 

하지만 중간고사나 기말시험 기간 중에 극장가는 사람치고 시험 준비 철저하게 해놓은 경우를 못 보았다. 시험 준비라고는 전혀 해놓지 않았거나, 대충 해놓은 학생들이 시험기간 중에 영화 보러 가는 것이 보통이다.

 

미리 스스로의 발목을 잡아둔다


생각해보면 이상한 일이다. 제대로 된 학생이라면 빨리 집에 가서 시험 준비에 매달려야 하는 것이 상식이 아닐까? 도대체 무엇을 믿고 영화를 보면서 그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일까?

 

시험기간 중에 영화를 보는 식의 행동은 우연하게 일어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본인은 의식 못할지 모르지만 이러한 행동은 나름대로의 전략에 기반을 둔 행동이다. 한마디로 말해 머리를 굴린 행동이라는 것이다. 사회심리학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셀프 핸디캐핑(self-handicapping)이라고 부른다. 셀프 핸디캐핑이란 스스로에게 핸디캡, 즉 불리한 조건을 미리 마련해둔다는 의미이다. 스스로의 발목을 잡는 행동을 미리 해두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시험 성적이 나빴을 때, 그 원인이 자기의 능력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영화를 보느라 시험 준비를 못해서인지 알 수 없도록 해두기 위해서이다. 시험 전날 영화를 보았다는 사실은 시험 준비가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는 훌륭한 증거가 된다.

 

이렇게 해두면 성적이 나빠도, 적어도 머리가 나쁘다는 소리를 듣지 않을 수 있는 핑계거리를 확보해둔 셈이 된다. 시험결과가 신통치 않아도 머리는 좋은데 준비를 못해서 성적이 나빴을 뿐이라는 인상을 친구들에게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밤을 새는 식으로 최선을 다하고  성적이 나빴을 경우는 빠져 나갈 구멍이 없다. 본인의 능력이 시원치 않다는 게 그대로 드러나 버리기 때문이다. 이 때는 또 다른 전략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이야기한다. 사람은 머리 나쁘다는 소리보다는 게으르다는 소리를 듣는 편을 오히려 좋아한다. 게으르다는 것이 머리 나쁘다는 것보다는 자존심에 덜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영화를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시험 성적이 좋았을 때는 보통 때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공부도 하지를 않았는데, 좋은 성적을 올리다니, 걔는 천재인가보다"라는 식의 할증된 칭찬을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support.jpg


자존심이 센 사람은 자신있을 때, 약한 사람은 자신없을 때


셀프 핸디캐핑이란 시험에 자신이 없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일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자존심이 높은 사람의 경우에는 오히려 시험에 자신이 있을 경우, 셀프 핸디캐핑을 하는 경향이 있다. “영화를 보면서 놀았는데도 저 성적이라니, 저 넘은 역시 대단하군이라는 식의 할증된 평가를 받기 위해서이다.

 

자존심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반대로 시험에 자신이 없을 경우에 셀프 핸디캐핑을 한다. 핑계거리를 확보해두기 위해서이다. 시험을 앞두고 시험에 자신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딴 짓을 한 적이 있다면 본인은 자존심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시험 전날 영화를 보는 식의 행동 모두가 저절로 셀프 핸디캐핑이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셀프 핸디캐핑이 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조건을 반드시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그것은 학교에 가서 전날 자기가 영화를 보았다는 것을 이야기하느냐의 여부이다.

 

남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셀프 핸디캐핑이 아니다.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 누구도 그 학생이 영화를 보았다는 것을 아무도 모르니  불리한 조건이 될 수가 없다. 이런 학생은 진짜로 영화를 좋아했기 때문에 시험 전날 극장을 갔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남들 들어보라는 듯이 일부러 큰 소리로 "어제 영화 보았는데 되게 재미있더라'라고 떠들었다면 그것은 셀프 핸디캐핑이 된다. 물론 대개는 자기가 영화를 보았다는 것을 강조하기 마련이다. 사실 이 말 하려고 영화 본 것이다시험기간 중에 보는 영화가 더 재미있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이러한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시험 기간 중에 극장을 가는 것만이 셀프 핸디캐핑인 것은 아니다. 시험이 내일인데, 게임에 몰두해 있다든지, 무협소설을 읽는다든지 하는 것도 물론 훌륭한 셀프 핸디캐핑이다. 다음날 학교에 가서 하루 종일 게임하느라 시험공부 하나도 못했네. 참 게임이란 게 뭔지라든지 어제 괜히 무협소설 들었다가 시험공부 하나도 못했네. 그 무협작가는 역시 대단해. 한번 잡으면 끝을 봐야 한다니까라는 식의 말을 하려는 것이다..

 

셀프 핸디캐핑은 학생들만 하는 것은 아니다. 성인 역시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셀프 핸디캐핑을 구사하고 있다중요한 일을 앞둔 전날 술을 마신다든지, 가능성이 전혀 없는 목표에 매달리는 식의 행동들이 대표적이다.  다음번에는 셀프 핸디캐핑을 다룬 재미있는 실험을 하나 살펴 본다.











?

  1. 테스트해설: 실연의 슬픔, 이렇게 벗어나라

    심리학에서는 사별이나 이별로 비롯되는 슬픔을 비탄의 심리라는 주제로 다루고 있다. 실연의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무슨 획기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겠냐마는 비탄의 심리에 관한 연구에서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몇 가지 방법을 정리해...
    Date2016.09.13
    Read More
  2. 테스트해설 : 비자기표출형 인간

    테스트 '나의 소통스타일은?'의 해설입니다 " 테스트 “더러워서 못해먹겠다. 회사 그만두어야지”라는 말이 입에 밴 사람이 있다. “이제는 죽어도 같이 못살아. 이혼해야지”라는 말이 입버릇처럼 된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 죽어도 사표 못쓰고 이혼 ...
    Date2016.08.30
    Read More
  3. 테스트 해설: 카멜레온 인간형

    다른 사람이나 상황이 요구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람이 인간관계에서 상당히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자면 상황에 따라 자기를 맞출 수 있는 카멜레온형 인간이 사회적 적응도가 높았다. 그것은 현대사회가 우리에...
    Date2016.08.25
    Read More
  4. 테스트 해설: 실연을 어떻게들 극복하고 있을까?

    테스트 '나는 실연에 강한 타입일까?'의 해설입니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 아름답다지만, 그것은 호사가들의 이야기일 뿐, 실연이란 누구에게나 괴롭고 비참한 경험이다. 정말로 좋아하던 이성에게 차이기라도 했다면 그 비참함과 괴로움은 배증할 것이다....
    Date2016.08.24
    Read More
  5. 테스트 해설: 사랑을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한 사람둘

    테스트 '늘 사랑을 확인하는 사람들'의 해설입니다. 과거에는 늘 자기에게 듣기 좋은 말만 해주고 또 좋아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던 사람이 요즘 들어와서는 반응이 영 신통치 않다. 좋아한다는 말을 자주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쪽에서 “날 좋아하느냐?”고...
    Date2016.08.23
    Read More
  6. 해설: 자기의식이란?

    테스트 '나는 남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나?'의 해설입니다. 일본의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방영되어 항간의 화제를 모았던 유명한 심리 실험이 있다. 사실 실험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출연자에게 손가락으로 자신의 이마에 알파벳의...
    Date2016.08.20
    Read More
  7. 해설: 자기표적의식 (self-as-target)이란?

    '테스트 왜 만날 나만 걸릴까?'의 해설입니다 세상에는 자신이 좋지 않은 짓을 하기만 하면 꼭 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개가 이렇다. 학생 시절에 수업 시간에 모처럼 만화를 읽으면 선생님한테 반드시 걸...
    Date2016.08.17
    Read More
  8. 타이프 A가 정말로 출세를 잘 할까

    * ‘나도 타이프 A일까’ 테스트에 관한 추가 설명분입니다. 타입A 행동패턴이란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과제의 달성을 지향하고, 주위에 대하여 맹렬한 경쟁심과 적개심을 보여주는 사람들의 행동을 말한다. 이와 정반대의 행동패턴은 타입B 행동패턴이라고 부른...
    Date2016.08.04
    Read More
  9.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2)

    실험은 ‘약물 효과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선 수열(數列)에 관한 20가지의 문제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받아야 했다. 문제지는 두 가지가 있어 하나는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졌다. 또 다른 하나는 정답...
    Date2016.07.10
    Read More
  10.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 (1)

    학창 시절 시험기간 동안에 영화를 보러 간 적이 있었던 사람들은 꽤 많을 것이다. 중간고사나 기말시험 기간에는 다른 때보다 학교가 일찍 끝나니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해놓았다면 머리를 식힐 겸 영화를 보러 갈 수도 ...
    Date2016.07.09
    Read More
  11. 우리들은 왜 화를 낼까

    사람이 화를 내지 않고는 살아갈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나에게 화를 내는 상황과 전혀 마주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화를 잘 내는 사람은 감정적으로 미숙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되도록 화를 내지 않고 불만이 있더라도 속으로 삭이는 것이 성...
    Date2016.07.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