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해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upport.jpg


실험은 약물 효과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선 수열(數列)에 관한 20가지의 문제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받아야 했다. 문제지는 두 가지가 있어 하나는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졌다. 또 다른 하나는 정답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들로 구성되었다. 문제를 푸는 사람들은 선택지 가운데서 대충 하나씩 찍어나갈 수밖에 없었다.


시험이 끝나고 나서 얼마 후 참가자들 모두가 자신의 성적을 알게 되었다. 쉬운 문제를 푼 사람은 물론, 어려운 문제를 풀었던 사람들도 예상외로 성적이 대단히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성적이 높도록 일부러 채점을 했으니 모두가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당연했다. 이 실험의 목적은 테스트에서 얼마나 좋은 점수를 기록하는지를 보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실험을 주재하는 사람은 성적을 알려준 후 지금부터 아까 보았던 시험과 비슷한 시험을 다시 한 번 보아야 합니다. 그 전에 우선 약을 복용하셔야만 합니다. 이 실험은 여기에 놓인 약들이 두뇌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니까요. 약에는 두 종류가 있어, 하나는 뇌를 자극해 지적 활동을 촉진하는 약이고, 또 다른 하나는 두뇌 활동에 지연을 주어 지적 작업을 방해하는 약입니다. 두 종류의 약 가운데 어느 것을 드셔도 무방합니다라고 말했다.


대충 찍어 성적이 좋았던 사람의 선택은?


사실 이 실험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어떠한 종류의 약을 선택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어려운 문제를 풀었던 사람들은 지적 활동을 방해하는 약을 선택했다.


이 사람들은 앞에서는 어떻게 운이 좋아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다음번 시험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보장이 전혀 없다는 것 역시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지적 작업을 방해하는 약을 선택했고, 이렇게 함으로써 다음번 시험에서 성적이 나쁘더라도 핑계를 댈 수 있는 재료를 확보한 셈이었다.


시험 성적이 나쁘더라도 성적이 나쁜 것은 약 때문이라고 주장할 수 있어, 지난번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과거의 영광은 손상받지 않는다. 자기평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뿐 아니라 만약 다음번 시험에서 성적이 좋기라도 하면 머리를 나쁘게 하는 약조차도 효과가 없는 최우수 두뇌의 소유자라는 인상을 줄 수도 있다.



이처럼 아무렇지도 않아 보이는 사람들의 행동 이면에는 복잡한 전략이 숨어 있다. 사람의 행동, 겉으로는 대수롭지 않게 보일지 몰라도 그러한 행동이 일어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

  1. 테스트해설: 실연의 슬픔, 이렇게 벗어나라

    심리학에서는 사별이나 이별로 비롯되는 슬픔을 비탄의 심리라는 주제로 다루고 있다. 실연의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무슨 획기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겠냐마는 비탄의 심리에 관한 연구에서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몇 가지 방법을 정리해...
    Date2016.09.13
    Read More
  2. 테스트해설 : 비자기표출형 인간

    테스트 '나의 소통스타일은?'의 해설입니다 " 테스트 “더러워서 못해먹겠다. 회사 그만두어야지”라는 말이 입에 밴 사람이 있다. “이제는 죽어도 같이 못살아. 이혼해야지”라는 말이 입버릇처럼 된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 죽어도 사표 못쓰고 이혼 ...
    Date2016.08.30
    Read More
  3. 테스트 해설: 카멜레온 인간형

    다른 사람이나 상황이 요구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람이 인간관계에서 상당히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자면 상황에 따라 자기를 맞출 수 있는 카멜레온형 인간이 사회적 적응도가 높았다. 그것은 현대사회가 우리에...
    Date2016.08.25
    Read More
  4. 테스트 해설: 실연을 어떻게들 극복하고 있을까?

    테스트 '나는 실연에 강한 타입일까?'의 해설입니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 아름답다지만, 그것은 호사가들의 이야기일 뿐, 실연이란 누구에게나 괴롭고 비참한 경험이다. 정말로 좋아하던 이성에게 차이기라도 했다면 그 비참함과 괴로움은 배증할 것이다....
    Date2016.08.24
    Read More
  5. 테스트 해설: 사랑을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한 사람둘

    테스트 '늘 사랑을 확인하는 사람들'의 해설입니다. 과거에는 늘 자기에게 듣기 좋은 말만 해주고 또 좋아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던 사람이 요즘 들어와서는 반응이 영 신통치 않다. 좋아한다는 말을 자주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쪽에서 “날 좋아하느냐?”고...
    Date2016.08.23
    Read More
  6. 해설: 자기의식이란?

    테스트 '나는 남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나?'의 해설입니다. 일본의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방영되어 항간의 화제를 모았던 유명한 심리 실험이 있다. 사실 실험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출연자에게 손가락으로 자신의 이마에 알파벳의...
    Date2016.08.20
    Read More
  7. 해설: 자기표적의식 (self-as-target)이란?

    '테스트 왜 만날 나만 걸릴까?'의 해설입니다 세상에는 자신이 좋지 않은 짓을 하기만 하면 꼭 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개가 이렇다. 학생 시절에 수업 시간에 모처럼 만화를 읽으면 선생님한테 반드시 걸...
    Date2016.08.17
    Read More
  8. 타이프 A가 정말로 출세를 잘 할까

    * ‘나도 타이프 A일까’ 테스트에 관한 추가 설명분입니다. 타입A 행동패턴이란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과제의 달성을 지향하고, 주위에 대하여 맹렬한 경쟁심과 적개심을 보여주는 사람들의 행동을 말한다. 이와 정반대의 행동패턴은 타입B 행동패턴이라고 부른...
    Date2016.08.04
    Read More
  9.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2)

    실험은 ‘약물 효과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선 수열(數列)에 관한 20가지의 문제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받아야 했다. 문제지는 두 가지가 있어 하나는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졌다. 또 다른 하나는 정답...
    Date2016.07.10
    Read More
  10.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 (1)

    학창 시절 시험기간 동안에 영화를 보러 간 적이 있었던 사람들은 꽤 많을 것이다. 중간고사나 기말시험 기간에는 다른 때보다 학교가 일찍 끝나니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해놓았다면 머리를 식힐 겸 영화를 보러 갈 수도 ...
    Date2016.07.09
    Read More
  11. 우리들은 왜 화를 낼까

    사람이 화를 내지 않고는 살아갈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나에게 화를 내는 상황과 전혀 마주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화를 잘 내는 사람은 감정적으로 미숙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되도록 화를 내지 않고 불만이 있더라도 속으로 삭이는 것이 성...
    Date2016.07.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