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해설

2016.08.20 01:35

해설: 자기의식이란?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upport.jpg


테스트 '나는 남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나?'의 해설입니다.


일본의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방영되어 항간의 화제를 모았던 유명한 심리 실험이 있다. 사실 실험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출연자에게 손가락으로 자신의 이마에 알파벳의 대문자 E 자를 써보라고 요청하는 것이었다. 이 글을 읽는 분들도 여기에서 읽기를 잠시 멈추자. 그리고 자기가 출연자가 된 셈치고 자신의 이마에 E 자를 한번 써보기 바란다. , 당신은 어떻게 E 자를 썼을까?


E 자를 쓰는 데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느냐고 반문할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여기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우선 상대가 잘 읽을 수 있도록 E 자를 쓰는 사람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자신이 볼 때는 E 자를 반대로 해 자 모양으로 쓰는 사람이다. 또 다른 유형은 상대를 배려하지 않고 자기 머릿속으로 읽을 때와 같이 E 자 모양으로 쓰는 사람들이다. 당신은 어떤 유형이었을까?


나는 자신에 얼마나 주의를 쏟고 있을까?


이 실험의 목적은 사람과 마주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자기를 의식하는 정도인 자기의식(self-consciousness)을 알아보는 것이다. 자기의식이란 일종의 성격 특성으로 모든 성격 특성들이 그러하듯이 자기의식의 정도에도 상당한 개인차가 있다.


자기의식은 크게 보아 공적 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과 사적 자기의식(private self-consciousness)으로 나눌 수 있다. E 자를 반대로 쓴 사람은 공적(公的) 자기의식이 높고, E 자를 자기 머릿속으로 읽는 대로 쓴 사람은 사적(私的)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이라고 부른다.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기의 외적 측면에 신경을 쓰는 만큼 자기보다는 다른 사람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이기 쉽다. 다시 말하면, 다른 사람이 자기를 어떻게 볼까 하는 데 늘 신경을 쓰며 노심초사하는 사람들이다.


반면 사적 자기의식은 자신의 생각, 동기, 태도 등 내적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기 쉬운 경향을 말한다. 사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타인의 시선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 자기가 생각한 대로 행동한다. 그만큼 자기중심적이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면 자기주장이 강한 미국 사람들의 경우 사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이 많고,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일본 사람들의 경우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이 많았다.


앞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얻은 의외의 결과는, 튀는 행동으로 유명해 개성적으로 여겨지던 탤런트들 가운데서도 E 자를 반대로 쓰는 사람이 많았다는 것이다. 언뜻 이상하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너무나 당연한 일로, 탤런트란 기본적으로 남에게 어떻게 보이느냐 하는 데 신경을 쓰는 직업이다. 따라서 아무리 개성적이고 자기중심적으로 보여도 내적으로는 공적 자기의식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말이 된다.


나쁜 성격은 없지만 손해되는 성격은 있다


사람이 두 가지 자기의식 가운데 어느 것 하나만을 가지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이것은 공적 자기의식의 반대가 사적 자기의식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공적 자기의식과 사적 자기의식은 별개의 성격 특성이다. 따라서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적 자기의식과 사적 자기의식을 동시에 가진다. 다만 그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support.jpg


공적 자기의식과 사적 자기의식이 모두 높은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두 가지 자기의식 모두 낮은 사람도 있다. 그 외에 공적 자기의식이 높고 사적 자기의식이 낮은 사람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사적 자기의식이 높고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사람도 있다. 공적 자기의식과 사적 자기의식의 조합으로 네 가지 유형을 도출할 수 있다는 말이다.


모든 성격이 그렇듯이,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것이 좋으냐 아니면 사적 자기의식이 높은 것이 좋으냐 하는 문제는 한마디로 말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다만 타인의 시선에 신경을 쓰는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의 경우,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지적해두고 싶다.


가령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 가운데는 일대일 상황, 다시 말하면 두 사람만 있는 상황에서 자기표현이 힘들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상대방이 어떻게 보느냐에만 신경을 쓰다 보니 있는 그대로 자기를 드러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제대로 된 연애 한번 하기 힘들다. 연애란 거의 모든 일이 일대일 상황에서 진행된다. 그런데 모처럼 기회가 와도 상대방의 시선에만 신경을 쓰다 보면 자기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결국 연애 관계를 깊이 진행시키기가 어렵고, 아쉬움과 후회만 남는다.


그렇다고 해서 사적 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인간관계에 문제가 전혀 없느냐 하면 그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자기중심적이다 보니 자기의 인간관계가 좋다고 착각할 뿐인 경우가 많다.


앞서 E 자를 자기가 보는 대로 쓴 분이라면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를, E 자를 반대로 쓴 독자라면 자기에 대한 배려를 의식적으로라도 좀 더 하는 것이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이루어가는 지름길이다. 좋은 인간관계의 출발은 우선 자기를 얼마나 잘 아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

  1. 테스트해설: 실연의 슬픔, 이렇게 벗어나라

    심리학에서는 사별이나 이별로 비롯되는 슬픔을 비탄의 심리라는 주제로 다루고 있다. 실연의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무슨 획기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겠냐마는 비탄의 심리에 관한 연구에서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몇 가지 방법을 정리해...
    Date2016.09.13
    Read More
  2. 테스트해설 : 비자기표출형 인간

    테스트 '나의 소통스타일은?'의 해설입니다 " 테스트 “더러워서 못해먹겠다. 회사 그만두어야지”라는 말이 입에 밴 사람이 있다. “이제는 죽어도 같이 못살아. 이혼해야지”라는 말이 입버릇처럼 된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 죽어도 사표 못쓰고 이혼 ...
    Date2016.08.30
    Read More
  3. 테스트 해설: 카멜레온 인간형

    다른 사람이나 상황이 요구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람이 인간관계에서 상당히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자면 상황에 따라 자기를 맞출 수 있는 카멜레온형 인간이 사회적 적응도가 높았다. 그것은 현대사회가 우리에...
    Date2016.08.25
    Read More
  4. 테스트 해설: 실연을 어떻게들 극복하고 있을까?

    테스트 '나는 실연에 강한 타입일까?'의 해설입니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 아름답다지만, 그것은 호사가들의 이야기일 뿐, 실연이란 누구에게나 괴롭고 비참한 경험이다. 정말로 좋아하던 이성에게 차이기라도 했다면 그 비참함과 괴로움은 배증할 것이다....
    Date2016.08.24
    Read More
  5. 테스트 해설: 사랑을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한 사람둘

    테스트 '늘 사랑을 확인하는 사람들'의 해설입니다. 과거에는 늘 자기에게 듣기 좋은 말만 해주고 또 좋아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던 사람이 요즘 들어와서는 반응이 영 신통치 않다. 좋아한다는 말을 자주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쪽에서 “날 좋아하느냐?”고...
    Date2016.08.23
    Read More
  6. 해설: 자기의식이란?

    테스트 '나는 남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나?'의 해설입니다. 일본의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방영되어 항간의 화제를 모았던 유명한 심리 실험이 있다. 사실 실험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출연자에게 손가락으로 자신의 이마에 알파벳의...
    Date2016.08.20
    Read More
  7. 해설: 자기표적의식 (self-as-target)이란?

    '테스트 왜 만날 나만 걸릴까?'의 해설입니다 세상에는 자신이 좋지 않은 짓을 하기만 하면 꼭 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개가 이렇다. 학생 시절에 수업 시간에 모처럼 만화를 읽으면 선생님한테 반드시 걸...
    Date2016.08.17
    Read More
  8. 타이프 A가 정말로 출세를 잘 할까

    * ‘나도 타이프 A일까’ 테스트에 관한 추가 설명분입니다. 타입A 행동패턴이란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과제의 달성을 지향하고, 주위에 대하여 맹렬한 경쟁심과 적개심을 보여주는 사람들의 행동을 말한다. 이와 정반대의 행동패턴은 타입B 행동패턴이라고 부른...
    Date2016.08.04
    Read More
  9.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2)

    실험은 ‘약물 효과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선 수열(數列)에 관한 20가지의 문제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받아야 했다. 문제지는 두 가지가 있어 하나는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졌다. 또 다른 하나는 정답...
    Date2016.07.10
    Read More
  10.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 (1)

    학창 시절 시험기간 동안에 영화를 보러 간 적이 있었던 사람들은 꽤 많을 것이다. 중간고사나 기말시험 기간에는 다른 때보다 학교가 일찍 끝나니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해놓았다면 머리를 식힐 겸 영화를 보러 갈 수도 ...
    Date2016.07.09
    Read More
  11. 우리들은 왜 화를 낼까

    사람이 화를 내지 않고는 살아갈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나에게 화를 내는 상황과 전혀 마주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화를 잘 내는 사람은 감정적으로 미숙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되도록 화를 내지 않고 불만이 있더라도 속으로 삭이는 것이 성...
    Date2016.07.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