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해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upport.jpg


테스트 '나의 소통스타일은?'의 해설입니다


더러워서 못해먹겠다. 회사 그만두어야지라는 말이 입에 밴 사람이 있다. “이제는 죽어도 같이 못살아. 이혼해야지라는 말이 입버릇처럼 된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 죽어도 사표 못쓰고 이혼 못한다. 입으로는 불평, 불만이지만 나름대로 직장생활, 결혼생활 잘 해나가는 것이 이런 사람들이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과 함께 지내다 보면 사표를 내거나 이혼하겠다는 말을 해도 또 시작이군이라고 생각하며 으레 그러려니 하고 마는 것이 보통이다.

 

한번 사표, 이혼이란 말을 뱉으면 반드시 실행하는 사람들


무서운 것은 평소에는 아무런 불평불만이 없다가 갑자기 사표를 내거나 이혼하자는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은 앞서 말한 사람들과는 달리 한번 말을 뱉으면 회사를 그만두거나 이혼한다. 


이런 사람들이 사표를 내거나 이혼하자는 말을 하면, 당하는 상사나 배우자는 매우 당황할 수밖에 없다. 평소에는 아무런 불만을 내비치지 않고 묵묵히 자기 맡은 바를 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탓에 상사나 배우자는 이런 사람들의 직장생활이나 결혼생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왔기 마련이다. 그러다가 의외의 돌연한 사표, 이혼이라는 사태를 마주하게 되면 우선 어처구니없어 하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돌연한 사직이나 이혼을 감행하는 사람들에게는 비자기표출적(非自己表出的, non-assertive) 타입이 많다. 이 타입의 사람들은 보통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그것을 입에 담지 않고 묵묵히 지낸다. 불만이 있어도 참고 좋은 일이 있어도 별 다른 표시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위 사람들은 이런 타입의 사람들의 감정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

 

더구나 이 타입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부탁을 잘 들어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이 요구를 하면 무리해서까지도 거기에 응하려고 한다. 무리한 부탁에도 응해줄 때가 대단히 많다.

 

또한 사람들의 부탁을 들어주는 과정에서 생겨나기 마련인 불만을 이야기하지 않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로부터 좋은 사람이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란 간사한 구석이 있어, 좋은 사람을 존중해주고 아끼기보다는 이용해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잘해주면 우습게 보려고 하는 것이 인간이다

 

이런 탓에 비자기표출적 인간에게 사람들은 요구나 부탁을 많이 한다. 상사는 일도 자주, 그리고 많이 시킨다. 상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사건건 토를 다는 부하직원보다는 아무 말 없이 시키는 대로 따라 주는 이러한 타입의 부하직원이 일을 시키기 편하기 때문이다.


support.jpg


비자기표출적 직원들에게는 일이 몰리기 쉽다


결국 비자기표출적 직원들에게 일이 많이 몰리고, 그만큼 야근을 할 경우도 많아진다. 보통 사람이라면 이러한 경우가 거듭되면 볼 멘 소리를 하기 마련이지만 비자기표출적 타입의 직원들은 아무런 불만을 표시하지 않고 맡겨진 일을 묵묵히 해낸다.

 

비자기표출적인 배우자를 둔 사람들은 자기 멋대로 마음대로 결혼생활을 해가는 경향이 있다. 상대가 아무런 불만을 표시하지 않으니까 그래도 되는 줄 알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인간관계에서도 제 멋 대로 하는 방식이 통용되는 경우는 없다

 

비자기표출적 타입의 인간도 감정이 있는 사람이다. 다만 그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을 뿐이다. 표출되지 않는 불만은 가슴 속에 쌓이고 있다. 이것이 어느 날 갑자기 무엇인가를 계기로 폭발할 때가 온다. 당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그것이 폭발하는 순간은 이미 모든 것이 끝난 상태인 것이다

 

물론 비자기표출적 사람들이 불만을 전혀 표시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이 표시하는 방식이 간접적인 경우가 많아 주위사람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다. 가벼운 농담이나 푸념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아 주위사람들이 그냥 넘어가기 쉬운 것이다.


support.jpg


하지만 이런 타입의 사람들은 듣는 입장의 사람들과는 달리 가벼운 농담이나 푸념으로 자기의 불만을 이야기했다고 생각하기 쉽다.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해 돌려서 불만을 이야기했을 뿐 자기의 불만을 다 전달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한 불만을 상대방이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나날이 계속되다보면 결국은 폭발할 수밖에 없다. 불만을 표시해보아야 아무런 소용이 없다면 남은 것은 행동뿐이라고 결론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각박한 세상이긴 하지만 우리 주위에 비자기표출적 타입의 사람들은 의외로 많다. 다만 우리가 그 사람들의 감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좋은 사람, 그래서 아무 부탁이나 해도 좋은 만만한 사람이라고 지레짐작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부터라도 주위를 둘러보아 비자기표출적 타입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이 있으면 부탁이나 요구를 덜 하자. 지금 직장에서 일을 시켜야하는 상사의 입장이라면 이 타입의 사람들의 직원들의 일을 덜어주고 또 덜 시켜야 한다.

 

그리고 비자기표출적 사람들이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불만에 귀를 기울이고 또 진지하게 받아들이자. 비자기표출적 사람들이야말로 아껴주고 보듬어 주어야 할 정말로 좋은 사람들인 것이다









?

  1. 테스트해설: 실연의 슬픔, 이렇게 벗어나라

    심리학에서는 사별이나 이별로 비롯되는 슬픔을 비탄의 심리라는 주제로 다루고 있다. 실연의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무슨 획기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겠냐마는 비탄의 심리에 관한 연구에서 슬픔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몇 가지 방법을 정리해...
    Date2016.09.13
    Read More
  2. 테스트해설 : 비자기표출형 인간

    테스트 '나의 소통스타일은?'의 해설입니다 " 테스트 “더러워서 못해먹겠다. 회사 그만두어야지”라는 말이 입에 밴 사람이 있다. “이제는 죽어도 같이 못살아. 이혼해야지”라는 말이 입버릇처럼 된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 죽어도 사표 못쓰고 이혼 ...
    Date2016.08.30
    Read More
  3. 테스트 해설: 카멜레온 인간형

    다른 사람이나 상황이 요구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사람이 인간관계에서 상당히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보자면 상황에 따라 자기를 맞출 수 있는 카멜레온형 인간이 사회적 적응도가 높았다. 그것은 현대사회가 우리에...
    Date2016.08.25
    Read More
  4. 테스트 해설: 실연을 어떻게들 극복하고 있을까?

    테스트 '나는 실연에 강한 타입일까?'의 해설입니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 아름답다지만, 그것은 호사가들의 이야기일 뿐, 실연이란 누구에게나 괴롭고 비참한 경험이다. 정말로 좋아하던 이성에게 차이기라도 했다면 그 비참함과 괴로움은 배증할 것이다....
    Date2016.08.24
    Read More
  5. 테스트 해설: 사랑을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한 사람둘

    테스트 '늘 사랑을 확인하는 사람들'의 해설입니다. 과거에는 늘 자기에게 듣기 좋은 말만 해주고 또 좋아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던 사람이 요즘 들어와서는 반응이 영 신통치 않다. 좋아한다는 말을 자주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쪽에서 “날 좋아하느냐?”고...
    Date2016.08.23
    Read More
  6. 해설: 자기의식이란?

    테스트 '나는 남의 시선을 얼마나 의식하나?'의 해설입니다. 일본의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방영되어 항간의 화제를 모았던 유명한 심리 실험이 있다. 사실 실험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간단한 것으로, 출연자에게 손가락으로 자신의 이마에 알파벳의...
    Date2016.08.20
    Read More
  7. 해설: 자기표적의식 (self-as-target)이란?

    '테스트 왜 만날 나만 걸릴까?'의 해설입니다 세상에는 자신이 좋지 않은 짓을 하기만 하면 꼭 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개가 이렇다. 학생 시절에 수업 시간에 모처럼 만화를 읽으면 선생님한테 반드시 걸...
    Date2016.08.17
    Read More
  8. 타이프 A가 정말로 출세를 잘 할까

    * ‘나도 타이프 A일까’ 테스트에 관한 추가 설명분입니다. 타입A 행동패턴이란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과제의 달성을 지향하고, 주위에 대하여 맹렬한 경쟁심과 적개심을 보여주는 사람들의 행동을 말한다. 이와 정반대의 행동패턴은 타입B 행동패턴이라고 부른...
    Date2016.08.04
    Read More
  9.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2)

    실험은 ‘약물 효과의 연구’라는 명목으로 실시되었다. 이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선 수열(數列)에 관한 20가지의 문제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받아야 했다. 문제지는 두 가지가 있어 하나는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졌다. 또 다른 하나는 정답...
    Date2016.07.10
    Read More
  10. 왜 시험 전날 영화를 보러갈까? (1)

    학창 시절 시험기간 동안에 영화를 보러 간 적이 있었던 사람들은 꽤 많을 것이다. 중간고사나 기말시험 기간에는 다른 때보다 학교가 일찍 끝나니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시험 준비를 완벽하게 해놓았다면 머리를 식힐 겸 영화를 보러 갈 수도 ...
    Date2016.07.09
    Read More
  11. 우리들은 왜 화를 낼까

    사람이 화를 내지 않고는 살아갈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나에게 화를 내는 상황과 전혀 마주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화를 잘 내는 사람은 감정적으로 미숙하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되도록 화를 내지 않고 불만이 있더라도 속으로 삭이는 것이 성...
    Date2016.07.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