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테스트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upport.jpg


모라토리엄(moratorium)인간이란 일본 게이오 대학의 오코노키(小此木)교수가 모라토리엄 인간의 시대라는 책에서 소개하면서 유명해진 인간형이다.

 

모라토리엄이란 다들 잘 알고 있듯이 채무상환을 유예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람에게서 모라토리엄 기간이란 자기의 정체성을 확립할 때까지 사회에 대한 기여를 유예해주는 기간을 의미한다. 유예기간이 끝나면 개인은 다양한 가능성 가운데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독립한 개체로서 사회적으로 인정받으며 살아가야 한다.

 

하지만 요즘은 청년기가 연장되어 모라토리엄 상태에 머무르는 청년층이 증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청년들보다는 나이를 먹을 만큼 먹었으면서도 모라토리엄 인간에 머무르고 있는 성인 남녀들이 오히려 더 문제이다.

 

모라토리엄형 인간의 공통적인 심리는 지금의 나는 진짜 내가 아니다. 진짜의 나는 --을 하고 있어야 한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조그만 기업에서 힘만 드는 영업을 하고 있는 나는 진짜 내가 아니다 원래 나는 일류기업에서 기획업무를 하고 있어야 한다.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모라토리엄 인간의 전형적인 심리이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다 보니 자기가 하는 일이나 현재의 자기의 모습에 만족을 할 수가 없다.

 

게다가 모라토리엄 인간은 사회에 대하여 당사자의식이 결여되어 있다. 항상 방관자로 남아 있으려 한다. 조직 ·집단 ·사회에 대한 귀속의식이 희박할 수밖에 없다.

 

모라토리엄형 인간이란 한마디로 말해 가치체계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은 사람이다. 가치란 나를 나답게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개념인데 이것이 제대로 안되어 있으면 자기 정체성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모라토리엄 증후군은 가볍게 취급할 수 있는 증후군이 결코 아니다. 심해지면  부정적인 모습으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우선 정신병리면에서는 조울증, 과대망상, 정신분열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실생활면에서는 이유없는 방황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뚜렷한 이유 없이 직장을 전전한다든지, 잘 다니던 직장을 때려 치고 성공가능성이 희박한 사업을 시작한다든지 아무런 목적의식 없이 대학원에 진학하는 식이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모라토리엄 인간형의 정도를 측정한다. 테스트는 3페이지 20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1. 나는 얼마나 자기중심적일까?

    심리학에서 자기중심성이란 자신이 모든 일의 중심이라 생각하면서 세상을 해석하는 성향이라고 정의됩니다. 다소 까다롭습니다만 일상적으로는 다른 사람에 배려하지 않고 자기편의 대로 행동하는 이기적인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저 사람은 너무 자...
    Date2018.06.12 Byrokea
    Read More
  2. 나의 사회스킬(social skill)은 어느 수준일까?

    사회생활을 원만히 영위해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자질을 사회심리학에서는 사회 스킬(social skill)이라고 부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사회 스킬을 "일상 생활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문제와 도전에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Date2018.03.25 Byrokea
    Read More
  3. 우울 상태 테스트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우울하다고 해서 반드시 우울증인 것은 아닙니다. 일상적인 우울과 우울증의 우울은 그 정도가 확연히 다를 뿐 아니라 우울증에는 우울한 것 이외에도 고유한 증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기분이 우울하다고 해서 ...
    Date2018.02.13 Byrokea
    Read More
  4. 당신이 스트레스로 병에 걸릴 가능성은?

     살다보면 이런 저런 일에 마주치기 마련이다. 결혼, 이혼, 부모의 죽음... 이렇게 우리들이 마주칠 수 있는 일들의 스트레스 강도를 점수 매겨 현재 우리가 느끼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려는 것이 Holmes와 Rahe의 사회적 재적응 평가 척도(Social...
    Date2017.03.09 Byrokea
    Read More
  5. 당신은 얼마나 권위주의적일까?: 권위주의 성격 테스트

    이번 탄핵 사태가 여실히 보여주었듯이, 정도는 약해졌을지 모르지만 권위주의는 여전히 우리 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룰이다. 권위주의란 일반적으로 “권위를 절대적인 것으로서 중시하는 생각으로 권위를 내세워 사고하거나 생각한다든지, 권위에 대하여 맹...
    Date2017.03.02 Byrokea
    Read More
  6. 나는 남성적일까? 여성적일까?: 남성성·여성성 테스트

    사회가 남녀의 성에 관하여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특성을 성역할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여성성과 남성성은 단일 연속체의 양극에 위치한다고 여겨졌다. 남성성의 반대는 여성성이고 여성성의 반대는 남성성이라는 식이다. 다시 말해 남성성이 높으면 여성성...
    Date2017.02.13 Byrokea
    Read More
  7. 나는 낙관적인 사람일까, 비관적인 사람일까: 낙관주의테스트

    반 잔의 물을 보고 반이나 남았다(half full)는 사람은 낙관주의자(optimist),반밖에 남지 않았다는 사람(half empty)은 비관주의자(pessimist)라고 흔히들 이야기한다. 그럴듯한 이야기이기는 한데 심리학에서는 낙관주의자-비관주의자를 측정하는데 이것보...
    Date2016.11.22 Byrokea
    Read More
  8. 나는 애매한 상황을 얼마나 잘 견딜 수 있을까: 애매성 내성 테스트

    사람은 자신의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하여 인과적인 해석을 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하면 그것이 왜 일어났는지를 알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원인과 결과가 분명한 현상에 대하여는 인지적으로 편안함과 안도감을 느낀다. 아무리 큰 ...
    Date2016.11.17 Byrokea
    Read More
  9. 나는 얼마나 무기력할까?: 무기력감 테스트

    일상생활 전반에서 자신이 의욕이 전혀 없거나 현저하게 떨어졌다고 느끼는 것을 보통 무기력감이라고 부른다.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무기력감과는 다른 상태로 의욕이 현저하게 떨어져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은 상태를 무기력한 상태라고 부른다. 무기력감의...
    Date2016.11.16 Byrokea
    Read More
  10. 나는 할 수 있다: 자기효능감(self-efficacy) 테스트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과제를 스스로의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결하여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을 말한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스스로의 삶을 통제하고 있고, 자신의 행동과 선택이 자신의 삶을 결정한다고 믿...
    Date2016.11.15 Byrokea
    Read More
  11. 모라토리엄 인간형 테스트

    모라토리엄(moratorium)인간이란 일본 게이오 대학의 오코노키(小此木)교수가 “모라토리엄 인간의 시대”라는 책에서 소개하면서 유명해진 인간형이다. 모라토리엄이란 다들 잘 알고 있듯이 채무상환을 유예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람에게서 모라토리...
    Date2016.10.27 Byrokea
    Read More
  12. 창의성 테스트: Remote Associates Test

    창의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만 이번 테스트에서는 메드닉(Mednick,S.)이라는 심리학자가 고안한 원격 연상 테스트(Remote Associates Test: RAT)로 창의성을 측정합니다. 메드닉은 창의적인 사람일수록 관련성이 먼 단어들을 결합해내...
    Date2016.10.23 Byrokea
    Read More
  13. 나의 통찰력은? : 통찰력 테스트

    통찰이란 한마디로 말해 어느 순간에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통찰이란 어떤 계기로 문제에 내재된 심층적인 구조를 보게 되는 것이지요.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통찰력을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하면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스킬로...
    Date2016.10.21 Byrokea
    Read More
  14. 마키아벨리스트 테스트

    이번 테스트에서는 심리학에서 어둠의 3요소(the dark triad)로 불리는 인격특성 가운데 하나인 마키아벨리즘을 측정합니다. 마키아벨리즘 성격 특성이란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활한 성격특성을 말합니다. 아침드라마에 등장하는 악역...
    Date2016.09.07 Byrokea
    Read More
  15. 요즘 건강이 걱정되십니까?

    심리테스트는 꼼꼼히 읽지 않고 건성으로 대답하시면 시간의 낭비일 뿐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다루어지는 테스트들은 특히 그렇습니다. 심신일체라는 말이 있듯이 마음이 건강해야 신체도 건강하고 또 신체가 건강해야 마음도 건강한 법입니다. 지금 자신의 ...
    Date2016.09.01 Byrokea
    Read More
  16. 나는 내가 싫다: 자기혐오감 테스트

    큰 잘못을 저질렀다든지 실패를 거두었을 때 대개의 사람들은 '내 자신이 싫다'라든지 '내가 너무 밉다'라는 식의 감정을 느낀다. 이런 식의 자기를 대상으로 하여 내려지는 부정적인 자기평가를 자기혐오감이라고 부른다. 자기혐오감이란 자신의 잘못된 행동...
    Date2016.08.29 Byrokea
    Read More
  17. 요즘 행복하십니까?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행복은 심리학의 연구대상이 되지를 못했다. 당시의 심리학에는 측정가능한 행동만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행동주의의 전통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관적인 현상의 대표격인 행복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여...
    Date2016.08.09 Byrokea
    Read More
  18. 당신의 정신적 회복력은?: 정신적 회복력 심리테스트

    정신적 회복력(resilience)이란 곤란하고 위협적인 상황에서도 잘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정신적 회복력을 가르키는 레질리엔스란 말은 스트레스와 함께 물리학에서 사용되던 용어였다. 스트레스는 외부의 힘에 의한 변형이란 의미로, 레질리엔스는 스트레...
    Date2016.08.07 Byrokea
    Read More
  19. 나도 나르시시스트?: 나르시시즘 테스트

    심리학에서 어둠의 3요소(the dark triad)로 불리는 3가지 인격특성이 있다. 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스의 3가지로 이것들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성격특성들이다. 나르시시즘은 주지하는 대로 자기애 성향을 말하며, 마키아벨리즘은 목적을 위해...
    Date2016.07.26 Byrokea
    Read More
  20. 있는 그대로의 당신을 받아들일 수 있나요?:자기수용 테스트

    자기수용이란 '자기에 대한 평가나 태도로서 자기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수용은 자신의 좋은 점은 긍정하고 나쁜 점은 부정하는 식의 판단을 넘어 자기 존재 전체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신의 좋은 점은 물론 결점까지도 있...
    Date2016.07.18 Byrokea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