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암시성(가짜뉴스 취약성) 자가 테스트

각 문항을 1(전혀 아니다)~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세요. 10문항, 총점 10~50점 (높을수록 취약).

1.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으면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느낀다.

2. 분노·감동 같은 강한 감정을 느끼면 사실 여부를 덜 따진다.

3. 전문가나 유명인이 말하면 대체로 맞다고 생각한다.

4. 링크를 열어 본문을 읽고 출처를 확인한 뒤에 공유한다.

5. ‘긴급’, ‘지금 당장’ 같은 문구에 쉽게 반응한다.

6. 어디선가 본 적 있는 주장이라면 별다른 확인 없이 믿는 편이다.

7. 내가 원래 믿는 의견과 같으면 의심이 줄어든다.

8. 숫자나 그래프가 들어가 있으면 신뢰가 커진다.

9. 기사 제목만 보고 판단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10. 다른 매체에서 같은 내용을 찾지 못하면 공유를 멈춘다.

결과

총점 (10~50, 높을수록 취약)
권위·사회적 신호
감정·긴급 반응
익숙함(반복 효과)
검증 취약성 (낮을수록 좋음)
판정
용어 도움말
🔢 총점 해석 (10~50)
  • 38~50 — 🌊 높은 피암시성: 사회적 신호·감정·반복에 쉽게 영향. 공유 전 ‘검증 루틴’ 강화 권장.
  • 26~37 — 🌱 중간: 상황 따라 유연. 때때로 검증 누락 가능.
  • 10~25 — 🪨 낮음: 비교적 단단한 검증 습관. 그래도 감정·긴급 프레이밍을 경계.
✨ 결과 예시
  • 총점 41 / 권위·사회적 신호 16 / 감정·긴급 8 / 익숙함 4 / 검증 취약성 9 → 높은 피암시성. 사회적 신호와 긴급 프레이밍에 특히 취약.
  • 총점 31 / 권위·사회적 신호 12 / 감정·긴급 6 / 익숙함 3 / 검증 취약성 10 → 중간. 검증 취약성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아 루틴 보강 필요.
  • 총점 18 / 권위·사회적 신호 8 / 감정·긴급 3 / 익숙함 2 / 검증 취약성 5 → 낮음. 검증 습관이 비교적 견고.
🧰 가짜뉴스 3초 체크리스트(SIFT 요약)
  • 멈추기(Stop): 감정이 격해지면 일단 멈춤.
  • 출처 살피기(Investigate source): 누가 말하는가?
  • 더 나은 출처 찾기(Find better coverage): 다른 매체에서도 보도?
  • 원출처 추적(Trace to original): 통계·이미지의 최초 출처 확인.

※ 이 테스트는 교육용 자가점검 도구로, 임상·공식 진단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