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맘디니 뉴욕시장 당선인과 뜻밖의 화기애애한 만남을 가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각)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자신을 향해 ‘파시스트’라고 비난했던 조란 맘다니(34) 뉴욕시장 당선인과 회동을 갖고 “우리는 생각보다 동의하는 부분이 많다”며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불과 몇 주 전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맘다니 당선인을 “공산주의자”라고 부르며 뉴욕시에 대한 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 중단을 시사했습니다.
맘다니 당선인도 트럼프를 “독재자” “파시스트”라고 공격하며 날 선 대립각을 세웠던 사이였기에 이날의 화기애애한 만남은 미국 정가에서도 큰 화제가 됐습니다.
트럼프는 과거 “공산주의자”라 비난했던 맘디니를 이번엔 “합리적이고 유능하다”고 평가하며, “당신이 시장이라면 뉴욕에 꼭 살겠다”고까지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을 파시스트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이 맘다니 당선인에게 거듭 향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괜찮다. 난 신경쓰지 않는다”며 대신 답했습니다. 또 “그냥 그렇게 말하면 된다”며 대인배적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두 사람은 주거비 안정, 식비 인하 등 공통의 현안에 대해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고, “(우리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우리는 그가 강하고 매우 안전한 뉴욕이라는 모든 사람의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두 사람은 맞서고 갈등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협조의 톤을 잡았다는 점이 주목받았습니다.
심리학적 해설
이 만남에서 드러나는 심리 및 사회적 메커니즘을 두 가지로 짚어보겠습니다.
1. 인상 전환( Impression shift )의 위력
트럼프가 과거에 강하게 비판했던 인물에게 갑자기 긍정적 태도를 보인 것은 ‘인상형성’이 얼마나 유연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사람은 사회·정치적 갈등 속에서는 동일시(“우리 편 vs 그들 편”) 프레임으로 타인을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직접 마주하고 ‘협력 가능성’이나 ‘공통 과제’를 인식할 때 기대 밖의 평가 전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즉, “저 사람은 적이다”라는 고정된 인식도, 조건이 바뀌면 “같이 할 수 있는 사람일까?”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죠.
2. 협력 신호( Cooperation cue )가 갈등을 완화하는 방식
두 정치인이 공통 관심사(주거·식비) 등에 대해 협의하는 태도는, 관찰자에게 “우리가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암묵적 신호를 줍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런 신호가 ‘상대방이 적이 아니라 잠재적 협력자’라는 인식을 불러일으키고, 그로 인해 긴장감이 완화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이 만남 자체가 단순히 뉴스용 ‘평화 쇼’가 아니라, 관찰자‑대중의 인식 변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셈입니다.
독자에게 던지는 질문
- 여러분이 최근에 “이 사람은 나와 다르다”며 거리를 두었던 누군가가, 어떤 공통 과제나 관심사로 인해 평가가 바뀔 가능성을 느끼신 적이 있나요?
- 집단 간 갈등이 깊을수록, 이런 ‘협력 신호’가 주어졌을 때 당신의 태도나 인식이 얼마나 바뀔 수 있을지 스스로 점검해보시면 어떨까요?
- 마지막으로, 사회나 조직 속에서 “우리는 다르다”며 멀어졌던 사람들과 다시 연결될 수 있는 작은 공통 관심사는 무엇일지 한번 떠올려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