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new

  • 나는 얼마나 자기중심적일까?
    심리학에서 자기중심성이란 자신이 모든 일의 중심이라 생각하면서 세상을 해석하는 성향이라고 정의됩니다. 다소 까다롭습니다만 일상적으로는 다른 사람에 배려하지 않고 자기편의 대로 행동하는 이기적인 사람을 ...
  • 나의 사회스킬(social skill)은 어느 수준일까?
    사회생활을 원만히 영위해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자질을 사회심리학에서는 사회 스킬(social skill)이라고 부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사회 스킬을 "일상 생활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문제와 도전에 창의...
  • 그 사람은 나르시시스트일까
    나르시시즘이 문제가 많은 성격이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인지 이 사이트에는 나르시시즘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찾아오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신의 나르시시즘 성향을 측정해보기 위해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
  • 우울 상태 테스트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우울하다고 해서 반드시 우울증인 것은 아닙니다. 일상적인 우울과 우울증의 우울은 그 정도가 확연히 다를 뿐 아니라 우울증에는 우울한 것 이외에도 고유한 증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
  • 당신의 결혼현실감은?
    우리 사회의 이혼은 2003년에 16만6천 건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줄어들고 있다. 2016년에는 10만 7천 건을 기록하면서 2003년보다 거의 6만 건이 줄어들었을 정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이혼강국이라는 데에는 여...
  • 내 파트너의 모라하라 가능성은?: 모라하라 테스트
    일본의 매스미디어나 인터넷에서는 하라(ハラ)로 끝나는 말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괴롭힘이라는 의미의 하라스먼트(harassment)란 단어를 붙인 복합어들인데요. 지위나 힘을 이용하여 아랫사람을 괴롭...
  • 당신이 스트레스로 병에 걸릴 가능성은?
     살다보면 이런 저런 일에 마주치기 마련이다. 결혼, 이혼, 부모의 죽음... 이렇게 우리들이 마주칠 수 있는 일들의 스트레스 강도를 점수 매겨 현재 우리가 느끼고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려는 것이 Holmes...
  • 당신은 얼마나 권위주의적일까?: 권위주의 성격 테스트
    이번 탄핵 사태가 여실히 보여주었듯이, 정도는 약해졌을지 모르지만 권위주의는 여전히 우리 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룰이다. 권위주의란 일반적으로 “권위를 절대적인 것으로서 중시하는 생각으로 권위를 내세워 ...
  • 나는 남성적일까? 여성적일까?: 남성성·여성성 테스트
    사회가 남녀의 성에 관하여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특성을 성역할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여성성과 남성성은 단일 연속체의 양극에 위치한다고 여겨졌다. 남성성의 반대는 여성성이고 여성성의 반대는 남성성이라는 ...
  • 미혼남녀, 몇살 때 결혼을 포기할까?(일본의 경우)
    우리 사회에도 이른바 결혼 적령기를 넘긴 남녀들로 넘쳐난다. 30대 미혼은 노총각, 노처녀 축에도 끼지 못할 정도이다. 이러다보니 노총각, 노처녀라는 말은 이미 사어가 되어버렸다는 느낌마저 든다. 혼기를 지나 ...
  • 거짓말을 간파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있을까?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조윤선 장관이 구속된 것을 보니 그들이 청문회에서 모른다고 주장했던 것은 역시 거짓말이었던 모양이다. 물론 두 사람은 증거인멸의 우려 때문에 구속된 것이긴 하지만 블랙리스트와 전혀 ...
  • 혹시 당신도 수동 공격형(passive aggressive)?
     수동 공격성(passive aggressive)이란 소극적이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불만이나 분노를 전달하거나 공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며칠간 잔업이 이어지다 오늘은 제 시간에 퇴...
  • 어둠 속의 일탈
     익명성이 완벽하게 보장된다면 사람들은 평소와는 달리 행동한다. 평소에는 주저하던 비상식적 행동에 나서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 그 결과 파괴적이 되기도 하고 공격적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비상식적인 행동이...
  • 가슴이 뛴다고 해서 다 사랑인 것은 아니다: 감정환기의 오귀인
    급격한 감정을 의미하는 정동과 관련해서는 흥미로운 실험들이 많지만 그 가운데에서 백미라면 역시 더튼의 실험일 것이다. 이 실험은 매스 미디어에서도 자주 다루어졌기 때문에 아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더튼의...
  • 소리가 우리를 속일 때.
    내가 왜 흥분했지?: 정동 2요인론에서 인용한 샤크터의 실험은 약물을 사용하여 사람들의 생리적인 반응을 끌어낸 경우이다. 이와는 정반대로 생리적인 반응은 전혀 일으키지 않은 채 사람들이 자신이 흥분해 있다고...
  • 1 / 3

심리테스트 더 보기

  • 그 사람은 나르시시스트일까
    나르시시즘이 문제가 많은 성격이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인지 이 사이트에는 나르시시즘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찾아오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신의 나르시시즘 성향을 측정해보기 위해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
  • 당신의 결혼현실감은?
    우리 사회의 이혼은 2003년에 16만6천 건으로 정점을 찍은 이래 줄어들고 있다. 2016년에는 10만 7천 건을 기록하면서 2003년보다 거의 6만 건이 줄어들었을 정도이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이혼강국이라는 데에는 여...
  • 내 파트너의 모라하라 가능성은?: 모라하라 테스트
    일본의 매스미디어나 인터넷에서는 하라(ハラ)로 끝나는 말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괴롭힘이라는 의미의 하라스먼트(harassment)란 단어를 붙인 복합어들인데요. 지위나 힘을 이용하여 아랫사람을 괴롭...
  • 혹시 당신도 수동 공격형(passive aggressive)?
     수동 공격성(passive aggressive)이란 소극적이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불만이나 분노를 전달하거나 공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며칠간 잔업이 이어지다 오늘은 제 시간에 퇴...
  • 당신은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고 있을까?: 직장스트레스 테스트
    스트레스 만큼 우리들을 괴롭히는 것도 흔치 않다. 스트레스 가운데에서도 직장스트레스만큼 심신 양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도 없다. 집보다도 직장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도 많다보니 직장에 ...
  • 사람들을 잘 믿는 편입니까?: 대인 신뢰감 테스트
    프란시스 후쿠야마는 그의 저서 '트러스트'에서 세계에는 고신뢰사회와 저신뢰사회가 있다고 하며 미국, 일본, 독일이 전자에, 중국, 러시아,이탈리아, 한국이 후자에 들어맞는다고 한다. 고신뢰사회에서는 국가와 ...
  • 나도 왕따의 가해자?: 관계적 공격성 테스트
    관계성 공격(relational aggression)이란 타자의 인간관계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상대에 상처를 입히려는 행동을 말한다. 누군가를 집단이나 집단활동으로부터 따돌리는 것을 의도하는 사회적 배제 , 친구들에게 특...
  • 자살의 신호들
    2013년의 자살률이 6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지만 우리 나라는 여전히 자살강국이다. 2014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3년에 자살로 생을 마감한 사람은 1만3천836명으로 1년 전보다 591명(4.1%) 줄...
  • 나는 실연에 강한 타입일까?: 실연 심리테스트
    요즘은 초혼 연령이 대단히 높아져서 남녀 모두 30이 넘어서야 결혼을 한다. 초혼연령이 높아졌다는 것은 그만큼 독신기간이 길어졌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연애가능기간이 길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 왜 나만 걸릴까?: 자기표적의식 테스트
    좋지 않은 짓을 하기만 하면 꼭 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늘 하는 사람들은 멀쩡한데 어쩌다 한번 하는 자신은 반드시 걸린다는 것이다. 학생이라면 수업 시간에 모처럼 만화를 읽으면 선생님한테 ...
  • 이성 앞에만 서면 움츠러드는 사람들: 이성불안 테스트
    연애를 잘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의 하나는 이성불안감이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이성불안이란 대인불안의 하나로 이성과 마주한 상황에서 얼마나 감정적으로 동요하기 쉬운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요즘 같은 세상에...
  • 사랑의 3요소를 측정해보자: 사랑의 3요소 심리테스트
     사랑이란 무엇일까? 사랑과 호의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 친구와 애인의 차이는 무엇일까? 짝사랑이란 무엇일까? 이러한 물음들은 수천년 동안 문학이나 철학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주제였다. 하지만, 실증적인 학문...
  • 나의 연애는 liking일까, love일까: love - liking 테스트
    이성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단일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은 옛날부터 있었으나 이것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루빈이 처음이다. 그는 로맨틱 사랑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보았...
  • 번아웃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 테스트
    번아웃 증후군이란 지금까지 일에 열심이던 사람이 개인의 대처 능력을 넘는 스트레스와 같은 이유로 갑자기 무기력 상태에 빠지는 것이다. 번아웃 증후군 상태에 빠지면 그때까지의 긴장이 풀려 의욕이 상실되어 버...
  • 나도 타입A일까: 타입A 테스트
    타입A란 항상 시간에 쫒기면서 과제의 달성을 지향하고, 주위에 대하여 맹렬한 경쟁심과 적개심을 보여주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와 정반대의 행동패턴을 보여주는 사람들을 타입B라고 부른다. 타입A의 행동패턴은 원...
  • 1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