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가 남녀의 성에 관하여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특성을 성역할이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남성성과 여성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성과 남성성은 단일 연속체의 양극에 위치한다고 여겨졌습니다. 남성성의 반대는 여성성이고 여성성의 반대는 남성성이라는 식이죠.
다시 말해 남성성이 높으면 여성성은 낮을 수밖에 없고 여성성이 높으면 남성성은 낮을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견해에 반대하며 Bem은 여성성과 남성성은 서로 독립된 차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시 말해 남성성과 여성성이 모두 높은 사람도, 모두 낮은 사람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봤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작성된 척도가 이번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BSRI( Bem’s Sex Role Inventory)입니다.미국 심리학자 샌드라 벰(Sandra Bem)이 1970년대에 개발한 검사로, 개인이 지닌 남성성·여성성 특성을 동시에 평가합니다.
이 테스트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됩니다.
- 남성형 (Masculine type) : 남성성 점수가 높고, 여성성 점수가 낮은 유형.전통적으로 ‘강인하다, 독립적이다, 리더십이 있다’는 특성이 두드러집니다.
- 여성형 (Feminine type) : 여성성 점수가 높고, 남성성 점수가 낮은 유형. ‘다정하다, 배려심 있다, 따뜻하다’와 같은 특성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 양성형 (Androgynous type) : 남성성과 여성성이 모두 높은 유형.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역할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리학적으로 가장 적응력이 높은 유형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 미분화형 (Undifferentiated type) : 남성성과 여성성이 모두 낮은 유형. 뚜렷한 성역할 특성이 약해,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부정적이라기보다, 특정한 성향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 왜 흥미로운가?
BSRI는 단순히 ‘남성답다/여성답다’라는 고정관념을 넘어서, 개인이 가진 성격적 자원을 폭넓게 바라보게 해 줍니다. 특히 ‘양성형(androgynous)’ 개념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는데, 남성성과 여성성이 동시에 높을 때 더 유연하고 풍부한 대인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테스트는 10페이지 60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목 수는 많지만 항목 자체가 짧기 때문에 작성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습나다.하지만 항목수가 항목수라 시간 여유가 있을 때 하는 편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