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0월 2일, 대통령이 “반중·반외국인 집회”에 대한 단속을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들 집회는 최근 시행된 중국인 무비자 입국 정책에 반발하는 극우 단체 중심으로 열리고 있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시위가 국가 이미지와 경제에 해를 끼치며 외국인 관광객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보고, 혐오 표현과 외국인 대상 위협 행위를 제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와 동시에 정부는 중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 의지를 보이며, 외교적 부담을 줄이려는 행보도 엿보입니다.
심리학적 해설
- 외집단 혐오와 ‘스케이프고트 심리’
이 사례에서 핵심은 ‘반(反) 외국인’ 정서가 특정 집단(이 경우 중국인 또는 외국인 관광객)을 향해 증폭된다는 점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스케이프고팅(scape‑goating) 또는 외집단 편향(outgroup bias) 현상으로 설명합니다.
사람들은 사회적·경제적 불안감(예: 경기 침체, 일자리 불안, 문화적 위기감 등)을 느낄 때, 불확실한 원인을 특정 집단에게 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의 불안과 책임감을 분산시키는거죠.
- 집단 동일시와 사회 정체성
극우 단체나 반외국인 시위를 조직하거나 참여하는 이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국민, 본국인, 순수성 지향 세력 등)의 정체성을 의식적으로 강조합니다. 사회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내집단, ingroup)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타집단(외집단, outgroup)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때 시위 주체는 “진정한 한국인 vs 외국인”이라는 대립의 구도를 만들어내며, 내집단 결속을 강화하고 외집단을 적으로 규정하려는 전략을 씁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회적 위기나 갈등 상황에서 ‘나의 정체성’이 위협받는다는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것입니다.
- 권력과 책임 회피의 심리
정부의 단속 지시는 한편으로는 ‘혐오 발언과 위협 행위의 확산’을 막겠다는 명분이지만, 다른 면에서는 정치적 책임을 분산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사람들(정치인 포함)은 책임을 직접 지는 것보다, “혐오 발언을 통제하지 않으면 대외 관계나 이미지에 해가 된다”는 프레임을 강조하며 책임 회피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책임 전가 책임 회피 메커니즘의 하나입니다.
더 나아가, 반외국인 정서를 통제하는 정부의 태도는 표면적으로는 ‘공정성’ 이미지를 주지만, 실질적 변화보다는 통제와 이미지 관리 중심으로 흐를 위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통제의 방식이나 기준이 공정하지 않을 때, 부작용이나 역풍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감정 전염과 여론 동조
이슈가 공론화되면, 반외국인 정서가 온라인과 미디어 공간을 통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이는 감정 전염(emotional contagion)과 동조 압력(conformity pressure)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한 사람이 강도 높은 혐오 발언을 내놓으면, 주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그 감정에 동조하거나 심지어 경쟁적으로 강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냉정한 반성보다는 감정적 반응이 더 잘 먹힙니다.
독자에게 드리는 질문
당신이라면, 이 정부의 단속 지시를 어떻게 심리적으로 해석하겠습니까?
반외국인 정서가 확산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개인으로서 우리는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요?
또, 외집단을 향한 혐오 정서를 줄이기 위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은 무엇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