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공정하다고 느끼는 건 불가능할까

정의의 개념은 주관적이며 개인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의를 주장할수록 갈등이 심화된다. 분배적 정의와 절차적 정의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공정 세계 가설'이 불공정에 대한 분노를 증가시킨다. 결국, 정의는 과정을 통해 보여져야 한다.

🔹 모두가 정의를 외친다, 그런데 왜 싸움은 끝나지 않을까?

갈등의 마지막 국면에는 종종 정의(justice)라는 말이 등장한다.
“이건 정의롭지 못해.”
“정의가 실현되어야 해.”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정의를 주장하는 순간 갈등은 더 심해질 수 있다.

왜일까?
사람마다 생각하는 정의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 분배의 정의 vs 절차의 정의

심리학자들은 정의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하나는 분배적 정의(distributive justice),
즉 “성과에 따라 보상이 공정하게 나뉘는가?”를 중시한다.
다른 하나는 절차적 정의(procedural justice)로,
“과정이 공정했는가?”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인사이동이 있었을 때
성과가 좋았던 사람이 승진했으면 ‘분배의 정의’는 충족된 것이다.
하지만 선정 과정이 불투명했다면,
사람들은 여전히 불공정하다고 느낀다.

이렇듯 정의의 관점이 다르면 같은 상황도 완전히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 ‘공정 세계 가설’이 갈등을 심화시킨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세상은 공정해야 한다”고 믿고 싶어한다.
이를 심리학에서는 공정 세계 가설(Just-world hypothesis)이라고 부른다.

그 믿음이 강할수록
불공정한 결과를 마주했을 때 더 큰 분노와 복수심을 느낀다.
이것이 정치, 사회, 법적 분쟁에서
갈등이 격화되고 타협이 어려워지는 원인 중 하나다.

또한 공정 세계 가설은 때로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게 만든다.
“뭔가 이유가 있었겠지”
“당한 사람도 잘못이 있지 않았을까?”

정의감이 왜곡되어 2차 가해로 이어지기도 한다.

🔹 정의를 말할수록 설득은 어려워진다

정의는 고상한 개념이지만,
그만큼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요소도 많다.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는 태도는
상대를 납득시키기보다,
방어적 반발을 일으키기 쉽다.

정의는 말하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과정의 투명성, 의견의 경청, 결과의 공유가
말 없는 설득이 될 수 있다.




📌 마무리 한 줄 요약
“정의는 기준이 아니라 과정이며, 말보다 설계가 중요하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