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뉴스와 일상에서 공통적으로 들려오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예전보다 더 거칠어졌다.”
운동 경기장의 관중석에서, 정치 무대에서, 심지어 온라인 댓글에서도 예전보다 훨씬 더 직설적이고 공격적인 언어가 난무하고 있습니다.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요?
- 불안한 시대, 줄어든 여유
경제적 불안, 고용 불안, 국제 정세의 긴장 같은 사회적 압박은 사람들의 마음을 옥죄고 있습니다. 여유가 줄면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화를 내게 됩니다. 일종의 심리적 ‘저항선’이 낮아진 것이죠. 그래서 예전 같으면 참을 수 있었던 일에도 곧바로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고, 언어가 과격해집니다.
- 온라인이 만든 공격성의 문화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는 익명성과 집단성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욕설과 비난이 조회 수를 올리고, 더 자극적인 표현이 주목을 받습니다. 결국 사람들이 ‘말을 세게 해야 살아남는다’는 학습을 하게 되면서, 온라인의 언어가 오프라인 대화에도 스며듭니다.
- 정치적 양극화의 학습 효과
정치권에서는 상대를 타협의 대상이 아니라 ‘적’으로 규정하는 일이 흔해졌습니다. 이것은 요즘의 법사위를 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지도층이 공개적으로 비난과 조롱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면 시민들도 그것을 모방합니다. “저 정도는 해도 된다”는 인식이 퍼지고, 사회적 규범 자체가 달라집니다.
- 수치심의 약화
과거에는 욕설이나 공격적 언행을 하면 “체면을 잃는다”는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같은 집단이 “잘했다”라며 박수를 보내 주면 오히려 정의로운 행동처럼 여겨집니다. 즉, 내부 억제 장치였던 수치심이 작동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그 결과, 거친 말과 행동이 일종의 ‘새로운 정상’이 되어 버렸습니다.
- 미디어의 자극 추구
언론과 방송은 분노와 갈등을 부각시킬수록 더 많은 클릭과 시청률을 얻습니다. 문화 콘텐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자극의 구조는 다시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날카롭게 만들고, 악순환을 형성합니다.
마무리
오늘 우리가 목격하는 ‘거칠어진 언행’은 단순히 개인의 성격 문제나 우연한 변화가 아닙니다. 사회적 불안, 온라인 문화, 정치적 양극화, 수치심의 약화, 미디어의 자극 구조가 맞물린 결과입니다. 결국 우리 사회가 얼마나 건강하게 긴장을 풀고, 서로의 다른 의견을 존중할 수 있는 문화를 회복하느냐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