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하여 오늘자 Psychology Today에 흥미로운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우리는 흔히 허위정보(misinformation)의 문제를 “왜 사람들이 거짓을 믿는가”라는 질문으로 접근합니다. 심리학 연구도 대부분 인지적 편향(확증편향, 동기화된 추론 등)이나 지식 부족에 초점을 맞추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시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허위정보의 핵심은 수용자의 무지가 아니라 ‘가해자(perpetrator)’의 의도적 조작과 확산에 있다는 것입니다.
왜 믿게 되었는가 vs. 누가 퍼뜨렸는가
허위정보 연구의 전통적 관점은 수용자의 특성을 파고듭니다. 왜곡된 믿음, 정보 처리 방식, 정치적 성향 등이 주된 설명이었지요. 하지만 이 접근만으로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아무리 교육을 강화하고 팩트체크를 제공해도, 끊임없이 새로운 허위정보가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근 학자들은 “왜 사람들이 속는가”에서 벗어나 “누가 속이려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허위정보의 생산자들입니다. 그들은 정치적 목적, 경제적 이득, 사회적 영향력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조작된 메시지를 만들어내고, SNS 알고리즘과 미디어 환경을 이용해 확산시킵니다.
책임의 무게를 옮겨야 한다
이 새로운 관점은 중요한 윤리적 함의를 갖습니다. 지금까지는 허위정보를 믿는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책임의 상당 부분은 정보를 조작하고 뿌린 사람에게 있습니다. 피해자에게 잘못을 묻는 대신, 가해자의 의도를 명확히 규명하고 사회적 제재와 제도적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허위정보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판단 실수’가 아닙니다. 사회적 권력과 의도적 기획이 개입된 현상입니다. 따라서 대응 방식도 달라져야 합니다.
팩트체크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여전히 필요하지만,
동시에 허위정보의 공급자와 그들의 동기를 추적하고 견제하는 제도적 장치가 강화되어야 합니다.
즉, “믿은 사람을 탓하는 것”에서 “퍼뜨린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 것”으로 초점을 옮기는 것. 이것이 허위정보 시대의 새로운 출발점일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