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신과 도덕적 확신

사람들은 왜 어떤 신념에 목숨을 걸까요? 이유 중 하나는 그 신념이 단순한 취향이나 의견이 아니라, 옳고 그름의 문제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사회심리학에서는 이것을 도덕적 확신(moral conviction)이라고 부릅니다. 도덕적 확신은 어떤 태도나 의견이 단순한 취향이나 사회적 규범이 아니라, 옳고 그름에 대한 개인의…
사람들은 왜 어떤 신념에 목숨을 걸까요? 이유 중 하나는 그 신념이 단순한 취향이나 의견이 아니라, 옳고 그름의 문제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사회심리학에서는 이것을 도덕적 확신(moral conviction)이라고 부릅니다. 도덕적 확신은 어떤 태도나 의견이 단순한 취향이나 사회적 규범이 아니라, 옳고 그름에 대한 개인의…
광신은 개인의 머릿속에서만 자라는 것이 아닙니다. 누군가가 그 신념을 집단의 깃발로 들어 올릴 때, 광신은 사회를 뒤흔드는 힘이 됩니다. 그 깃발을 드는 사람이 바로 카리스마적 지도자입니다.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권력의 세 가지 근거 중 하나로 카리스마 권위를 말했습니다. 합리적 규칙도,…
신흥종교나 소수집단종교들은 교세 확장의 수단으로 말세론을 자주 이용합니다. 신도들에게 위기감과 공포심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기들만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일종의 선민의식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죠. 어찌 보면 교세를 단시간에 확장시키는 데에는 말세론만한 것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말세론이 효과적이려면 말세론이 효과를…
오늘날 우리는 누구나 손바닥 안에서 무한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검색창 하나만 열면 정치와 과학, 종교와 문화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지식과 주장이 쏟아집니다. 언뜻 보기에 이런 시대는 인간을 더욱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로 만들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역설적인…
사회심리학에는 신념 지속 효과(belief perseverance)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한 번 형성된 믿음은 시간이 지나고 새로운 증거가 나타나더라도 쉽게 수정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반대 증거가 제시되면 그 내용을 자신의 신념을 공격하는 적대적 시도로 간주하여, 기존 신념을 더욱 공고히 하는 방식으로 재해석하기도 합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사면(赦免)은 종종 오해된다. 법률적으로 사면은 죄가 없음을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확정된 유죄 판결에 대한 형벌의 집행을 면제하거나 기록을 일부 소멸시키는 조치에 불과하다. 말하자면 사면은 “무죄 선언”이 아니라 “국가 권력이 내려주는 특별한 은혜”다. 그러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걸려 있는…